본문 바로가기

News

Ayoung Kim 김아영: "Delivery Dancer Codex" at MoMA PS1 & Performa 2025 Biennial

Nov 5, 2025

Ayoung Kim’s global exploits continue at her first solo exhibition in the U.S., Ayoung Kim: Delivery Dancer Codex at MoMA PS1, on view from November 6, 2025 through March 16, 2026. In the same month, Kim will also present a new performance Body^n (2025) as part of the Performa Commission for the Performa Biennial 2025, taking place at Canyon, New York, across three evenings from November 13 to 15.

Ayoung Kim: Delivery Dancer Codex
Thursday, November 6, 2025 – Monday, March 16, 2026
MoMA PS1 (22-25 Jackson Ave, Queens, New York 11101, United States)

Artist Talk
1:30PM November 8, 2025
conversation with Chief Curator Ruba Katrib and writer Dawn Chan (thisdawnchan)

Ayoung Kim. "Delivery Dancer’s Arc: Inverse". 2024. Three-channel high-definition video (color, sound). 27 min. Courtesy MoMA PS1. Photo: Roz Akin
Ayoung Kim. "Delivery Dancer’s Arc: Inverse". 2024. Three-channel high-definition video (color, sound). 27 min. Courtesy MoMA PS1. Photo: Roz Akin
Ayoung Kim. "Delivery Dancer’s Arc: Inverse". 2024. Three-channel high-definition video (color, sound). 27 min. Courtesy MoMA PS1. Photo: Roz Akin
Ayoung Kim. "Delivery Dancer’s Arc: Inverse". 2024. Three-channel high-definition video (color, sound). 27 min. Courtesy MoMA PS1. Photo: Roz Akin
Ayoung Kim. "Delivery Dancer’s Arc: Inverse". 2024. Three-channel high-definition video (color, sound). 27 min. Courtesy MoMA PS1. Photo: Roz Akin

MoMA PS1, renowned institution devoted to highlighting experimental and boundary-pushing works in contemporary art, will present Kim’s exhibition curated by Ruba Katrib, Chief Curator and Director of Curatorial Affairs. Delivery Dancer Codex marks Kim’s first solo exhibition in the U.S., and also the first time various works from her celebrated Delivery Dancer (2022–ongoing) series will be shown together. The word “codex” in the title conjoins multiple references: ancient tablet manuscripts, Medieval parchment-bound books, and scriptures listing decrees and knowledge, as well as game concept books and a term designating compilations of code in contemporary programming culture. Through the symbolic figure of the “delivery dancer” in her trilogy, she interrogates key themes of the gig economy and platform labor, theories of parallel universe, quantum physics, the hypervigilance of the delivery riders, and the accelerationist urge to optimize body, time and space.

The exhibition centers on Delivery Dancer’s Sphere (2022), Delivery Dancer’s Arc 0° Receiver (2024), and Delivery Dancer’s Arc: Inverse (2024), presented as as monumental installations spanning the MoMA PS1’s entire third floor. In particular, Delivery Dancer’s Arc: Inverse, which received the ACC Future Prize at the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 Korea, is staged in its original iteration in its full form, comprising a three-channel video installation, sundial installation, calendar graphic sheets, and synchronized light controls.

The presentational includes a selection of her key works including Evening Peak Time Is Back, Orbit Dance series, Ghost Dancer A & B, and Stipulation (all 2022), which garnered critical acclaim at Kim’ solo exhibition Syntax and Sorcery at Gallery Hyundai in 2022. As part of the exhibition programming, MoMA PS1 will host an artist talk on November 8 joined by Ayoung Kim, curator Ruba Katrib, and critic Dawn Chan, offering further insight into her creative worldview. 

Body^n
Performa Commission at the Performa 2025 Biennial
Canyon (198 Broome Street, New York, New York 10002, United States)
Thursday, November 13, Friday, November 14, and Saturday, November 15, each evening at 8:30PM

"Body^n" (2025) at Performa 2025 Beinnial, New York,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Gallery Hyundai.
"Body^n" (2025) at Performa 2025 Beinnial, New York,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Gallery Hyundai.
"Body^n" (2025) at Performa 2025 Beinnial, New York,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Gallery Hyundai.
"Body^n" (2025) at Performa 2025 Beinnial, New York,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Gallery Hyundai.

Furthermore, Ayoung Kim presents her new commissioned performance, Body^n (2025), at the Performa 2025 Biennial. Co-produced by Onassis ONX studio and Canyon, and organized by Defne Ayas, Performa’s senior curator and director of Van Abbemuseum in Eindhoven, the Netherlands, Body^n builds on Kim’s exploration of the body double, a figure long symbolized as risk, illusion, and perfection in film and performance. Extending the artist’s interest in the doppelgänger into the digital world, the work investigates longstanding themes in Kim’s practice: the multiplied body, digital labor, and technological reproduction. With action director Chai Kim on martial arts choreography—known for her Emmy Award-winning stunt work in Squid Game—, the piece features four performers in total: two performers including Chai Kim herself and two dancers based in New York. Their movements will be motion captured live on stage, and the data is projected into a game engine–based digital world that Ayoung Kim’s studio has been developing over the past several years. Body^n will be on view at Canyon in New York on Thursday, November 13, Friday, November 14, and Saturday, November 15, at 8:30pm each evening.

Meanwhile, Ayoung Kim’s Dancer in the Mirror Field (2025), co-commissioned by M+ and Powerhouse Museum, is currently on display at the M+ façade in Hong Kong. Screened nightly through December 28, this film centers on a delivery competition hosted by the “Delivery Dancer” platform, which crowns the dancer who completes delivery tasks with the most optimized movements and routes, reflecting on contemporary obsession with efficiency and optimization. The work combines motion capture, 3D game engines, and AI-generated imagery to create a new visual experience where technology and imagination intersect. Dancer in the Mirror Field was supported by presenting sponsor Julius Baer, and will travel to Powerhouse in Sydney in 2026. 

Recently, Ayoung Kim was named the first Korean recipient of the LG Guggenheim Award, reaffirming her position as a vanguard figure in media art. Earlier this year, she successfully held her solo exhibition Plot, Blop, Plop (2025) at Atelier Hermès in Seoul, and Ayoung Kim: Many Worlds Over (2025) at Hamburger Bahnhof, Berlin, celebrating her first solo presentation at a German institution. Kim continues to expand her international endeavors through exhibitions at major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Art, Osaka; Copenhagen Contemporary, Copenhagen; Tate Modern, London; Seoul Museum of Art, Seoul; and Mori Art Museum, Tokyo.


국내외를 넘나들며 활발히 활동해 온 김아영의 미국 첫 개인전 《김아영: 딜리버리 댄서 코덱스》 (Ayoung Kim: Delivery Dancer Codex)》가 2025년 11월 6일부터 2026년 3월 16일까지 뉴욕현대미술관 PS1(MoMA PS1)에서 개최된다. 또한 김아영은 2025 퍼포마 비엔날레(Performa Biennial 2025)의 ‘퍼포마 커미션(Performa Commission)’의 일환으로 뉴욕의 캐년(Canyon)에서 퍼포먼스 신작 〈Body^n〉(2025)을 2025년 11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선보인다. 

MoMA PS1은 동시대 가장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미술을 소개하는 기관으로, 이번 전시는 MoMA PS1의 수석 큐레이터 루바 카트립(Ruba Katrib)이 기획하였다. 《딜리버리 댄서 코덱스》는 김아영의 미국 첫 개인전이자 작가의 대표 시리즈인 〈딜리버리 댄서〉(2022–현재) 의 여러 작품을 한자리에 모아 선보이는 첫 전시이다. 전시 제목의 ‘코덱스(Codex)’는 고대의 타블렛형 책, 중세의 양피지를 엮은 서책의 형식을 가리키는 동시에, 여러 규약과 정보를 모은 경전, 게임 문화에서의 설정집, 현대 프로그래밍 문화에서 코드 모음집의 의미를 중첩한 개념으로 ‘딜리버리 댄서’라는 상징적 인물을 통해 긱 이코노미와 플랫폼 노동, 가능세계론과 양자물리학, 신체와 시간에 대한 최적화를 요구하는 가속주의적 촉구 등을 탐구해 온 작가의 궤적을 면밀히 조명한다. 전시는 〈딜리버리 댄서의 구〉(2022), 〈딜리버리 댄서의 선: 0°의 리시버〉(2024), 그리고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2024)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MoMA PS1의 3층 전시장 전관을 가득 채우는 대규모 설치로 구현된다. 특히 국립아시아전당(ACC) 미래상 수상작으로 처음 공개된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는 3채널 영상 설치를 비롯해 해시계 조형물, 달력 그래픽 시트, 그리고 조명 동기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 전 설치가 상당 부분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재구성되어 선보인다. 그 외에도 2022년 갤러리현대 개인전 《문법과 마법》에서 선보여 화제를 모았던 〈다시 돌아온 저녁 피크 타임〉, 〈궤도 댄스〉 연작, 〈고스트 댄서 A & B〉, 〈약정〉(모두 2022) 등 작가의 다채로운 작품 세계를 대표하는 주요 작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아울러 전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1월 8일 MoMA PS1에서 열리는 아티스트 토크에서는 김아영 작가가 루바 카트립 큐레이터, 평론가 던 첸(Dawn Chan)과 함께 작품 세계에 대해 대담을 나눌 예정이다.

김아영은 2025 퍼포마 비엔날레에서 퍼포먼스 커미션 신작 〈Body^n〉(2025)을 선보인다. 오나시스 오닉스 스튜디오(Onassis ONX)와 캐년(CANYON) 공동 제작, 퍼포마(Performa)의 시니어 큐레이터이자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반아베미술관(Van Abbemuseum) 관장 데프네 아야스(Defne Ayas)가 기획한 〈Body^n〉은, 영화 및 공연계에서 오랫동안 위협, 환상, 그리고 완벽함을 상징해온 대역 배우(바디 더블)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도플갱어(doppelgänger)의 개념과 작가가 오랫동안 탐구해 온 복수적 신체, 디지털 노동, 그리고 기술적 재현의 문제를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한 작업이다. 〈오징어 게임〉에서의 스턴트 액션으로 에미상을 수상하기도 한 김차이 무술감독이 액션 안무를 맡았으며, 김차이 감독 본인을 포함한 두 명의 스턴트 배우, 그리고 뉴욕 현지의 무용수 두 명 등 총 4인의 퍼포머가 출연한다. 이들의 몸짓이 무대 위에서 라이브 모션 캡처 데이터를 생성하고 작가의 팀이 수년간 개발한 게임 엔진 기반의 디지털 세계로 투사된다. 〈Body^n〉 퍼포먼스는 11월 13일(목), 14일(금), 15일(토), 매일 저녁 8시 30분 총 3번에 걸쳐 선보여질 예정이다. 

현재 김아영은 홍콩 M+ 미술관의 파사드에서 시드니 파워하우스(Powerhouse Museum)와 공동 커미션한 〈거울미로 속 댄서〉(2025)를 선보이고 있다. 12월 28일까지 매일 밤 상영되는 이 작품은 “딜리버리 댄서” 플랫폼에 고용된 댄서들 중 가장 최적화된 움직임과 동선으로 배달 업무를 수행하는 승자를 가리는 경연대회를 중심으로, 사회의 효율성과 최적화에 대한 집착을 탐구하며, 모션캡쳐·3D 게임엔진·생성형 AI를 결합해 기술과 상상력이 교차하는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M+ 미술관과 시드니 파워하우스미술관의 공동 커미션으로 제작, 줄리우스 베어(Julius Baer)가 후원하였고 2026년에는 시드니 파워하우스미술관에서도 전시될 예정이다.

한편, 최근 김아영은 한국인 최초로 ‘LG 구겐하임 어워드’의 수상자로 선정되며 미디어 아트의 최전선에 선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올해 초 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개인전 《플롯, 블롭, 플롭》을 성공적으로 개최한데 이어, 독일을 대표하는 국립현대미술관 함부르거 반호프 미술관에서 독일 첫 미술관 개인전 《Ayoung Kim: Many Worlds Over》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국제국립미술관, 오사카; 코펜하겐 컨템포러리, 코펜하겐; 테이트 모던, 런던; 모리미술관, 도쿄 등 세계 유수 기관의 기획전에 연이어 참여하며 국내외를 아우르는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