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안내는 하단의 'Read More'를 클릭하세요.
Gallery Hyundai is pleased to present Not I, not I, but the wind that blows through me, a two-person exhibition featuring recent and new works by Kang Seung Lee and Candice Lin. On view from August 27 to October 5, 2025 at Gallery Hyundai (8 Samcheong-ro), the exhibition marks Kang Seung Lee’s second presentation with the gallery following Briefly Gorgeous in 2021, as well as Candice Lin’s highly anticipated first gallery exhibition in Korea. Grounded in each artist’s conceptually rigorous, research-driven practice, the exhibition highlights their shared inquiries into materiality and the thematic expansion. Together, the artists premiere approximately 30 new works that reflect their ongoing engagement with queerness, embodied history, and memory. Lee presents his latest video work, Skin (2024), alongside new graphite drawings, gold-thread embroidery on sambe (Korean hemp fabric), and assemblages, while Lin unveils a carefully curated selection of new works encompassing video animation, painting, drawing, and ceramic sculpture.
Building upon distinct cultural backgrounds and formal languages, Kang Seung Lee and Candice Lin shed light on marginalized or erased histories, consistently giving voice to overlooked narrat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Kang Seung Lee continues his long-standing project of documenting and commemorating the lives and legacies of queer artists, writers, choreographers, and gay and transgender activists from earlier generations, many of whom met an early death. Receiv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through exhibitions at leading global institutions and biennales, Lee’s recent work demonstrates a sustained contemplation into materiality and its conceptual reach. In his recent body of work, Lee explores the aging queer body as a living archive, presenting human skin as a site inscribed with layered memories both intimate and political. Candice Lin, in turn, engages with both traditional and organic, living materials and processes, ranging from painting, draw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video to mold, fungi, bacteria, fermentation, and stains. Her work addresses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nd explores issues race, gender, and sexuality, drawing from histories of colonialism and diaspora. By queering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animal, and by examining interspecies relationships, Lin challenges the taxonomic structures that underpin colonial violence and control of bodies, surfacing the systems of classification, control, desire, and power.
The title of the exhibition, Not I, not I, but the wind that blows through me, is drawn from a line in D.H. Lawrence’s the poem “Song of a Man Who Has Come Through.” As the conceptual cornerstone of the exhibition, the phrase metaphorically reflects how suppressed histories begin to breathe again and how memories circulate through the win that blows through us. It resonates deeply with the artists’ enduring practice, which seek to render visible what has long been invisible in silence, and to reimagine what has been forgotten through the language of our time.
갤러리현대는 8월 27일부터 10월 5일까지 이강승, 캔디스 린 작가의 2인전 《나 아닌, 내가 아닌, 나를 통해 부는 바람(Not I, not I, but the wind that blows through me)》을 개최한다. 2021년 《잠시 찬란한》 이후 4년 만에 갤러리현대에서 선보이는 이강승의 두 번째 전시이자 캔디스 린의 국내 첫 갤러리 전시로, 두 작가가 최근 수년간 심화해 온 리서치를 바탕으로 주제적 확장과 물성에 대한 탐구가 돋보이는 신작들을 선보인다. 전시에서는 이강승의 최신 영상작 〈피부〉(2024)를 비롯하여 흑연 드로잉, 삼베에 수놓은 금실 자수, 아상블라주 등의 신작과 캔디스 린의 영상 애니메이션, 회화, 조각 등 총 30여 점의 신작이 최초로 공개된다.
이강승과 캔디스 린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조형 언어를 바탕으로 사회적 제도에 의해 배제되거나 역사 속에서 지워지고 잊힌 인물과 공동체, 그리고 그들의 서사를 지속적으로 조명해 왔다. 이강승은 자신보다 앞선 세대의 퀴어 예술가, 작가, 무용가, 게이 및 트랜스 인권 운동가들의 짧은 생애와 유산을 기록하고 기리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 세계 유수의 기관 및 주요 비엔날레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이강승은 재료의 확장과 물성에 대한 깊은 고찰을 통해 ‘피부’를 시간의 흐름 속 변화와 기억의 층위를 기록하는 살아 있는 아카이브로 제시한다. 캔디스 린은 회화, 드로잉, 조각, 설치, 영상뿐만 아니라 곰팡이, 박테리아, 발효, 얼룩 등 유기적 물질과 이를 둘러싼 과정 또한 작업의 매체로 삼아 식민주의와 디아스포라의 역사, 젠더, 인종, 섹슈얼리티에 얽힌 복합적인 권력 구조를 다층적으로 탐구한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인간과 동물 간의 경계와 관계에 주목하며, 그 이면에 깔린 분류와 통제, 욕망과 권력의 체계를 환기하고 이를 통해 간과되거나 충분히 조명받지 못한 역사의 실체를 드러낸다.
전시 제목 《나 아닌, 내가 아닌, 나를 통해 부는 바람》은 영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D. H. 로렌스(David Herbert Lawrence, 1885–1930)의 시 「헤쳐 나온 자의 노래(Song of a Man Who Has Come Through)」의 한 구절에서 착안한 것이다. 전시의 개념적 초석이 되는 이 문장은 우리를 관통하는 바람과 같은 초월적인 힘을 통해 억압되어 온 역사와 기억이 다시 살아 숨 쉬고 순환하는 과정을 은유적으로 담고 있다. 이는 은폐되고 침묵으로 가려진 서사를 가시화하고, 상실된 기억을 복원하여 동시대의 언어로 풀어내는 두 작가의 일관된 작업 세계와 깊이 맞닿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