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of ’medium’ can be traced back to medieval theology, referring to the tools of communication, or mediation, with the divine. And the word ‘gut’ originates from the Mongolian ‘eol (spirit),’ so medium and gut are virtually one and the same.”
— Nam June Paik, excerpt from A Pas de Loup: De Séoul à Budapest (1990)
Gallery Hyundai is proud to present the Korean traditional shamanic rite of gut on Thursday September 4 at 10pm, as part of our Samcheong Night programming. “Manshin (all-gods)” shaman Kim Hye Kyoung, heritage educator for daedonggut as well as baeyeonsingut from Korea’s West Coast region, one of the country’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ll perform Daedonggut – Bisugeoeri (Jakdu gut). It will take place in Gallery Hyundai’s courtyard where Nam June Paik staged A Pas de Loup (With the Steps of the Wolf) in 1990 in memoriam of Joseph Beuys, a ritual in collaboration with a master shaman specializing in the East Coast byeolshingut. This performance not only shares Paik’s boundary-pushing experimental spirit with international guests, but also wishes wellness and prosperity to beings dwelling in our reality and in spiritual realms. We hope to spread the charm of Korean gut to the world through this occasion, highlight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hamanism and origins of art itself.


Gallery Hyundai first engaged the tradition of gut at Nam June Paik’s A Pas de Loup (With the Steps of the Wolf): De Séoul à Budapest, presented at Gallery Hyundai’s courtyard on July 20, 1990, at 4pm to commemorate Joseph Beuys. The performance, beyond the memorialization of an individual artist, signified the encounter between Korean shamanistic traditions and the avant-garde in contemporary art. Nam June Paik himself transformed into a shaman, conjuring Joseph Beuys through a broken piano and fedora with a hole on top, and enmeshed the two artists’ creative visions on the cheerful stage of gut. It left a substantial footprint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introduced to various parts of Korea and Europe through broadcasts on the French CANAL Plus and Korean KBS channels. In the catalog published on the occasion, A Pas de Loup: De Séoul à Budapest, Paik comments: “the concept of ’medium’ can be traced back to medieval theology, referring to the tools of communication, or mediation, with the divine. And the word ‘gut’ originates from the Mongol ‘eol(spirit),’ so medium and gut are virtually one and the same.” Paik, then, approached gut as a medium akin to his iconic televisions, with himself as the mediator and shaman who may connect the present world and a world beyond death in transcendental communication.
In 2004, Gallery Hyundai invited Kim Keum-Hwa, shaman and a friend of Nam June Paik, for the opening of Günther Uecker’s touring exhibition Der geschundene Mensch (The Abused Human). Günther Uecker, a major figure in German contemporary art, envisioned his work as a requiem for those in pain—and by staging gut as a Korean tradition of healing, he hoped to achieve a merging of Western and East Asian traditions. Uecker in fact donned the Korean traditional gat hat and entered as a part of the performance. Later in 2016, Gallery Hyundai partially reenacted the original gut performance from 1990 in celebration of Paik’s tenth anniversary memorial exhibition When He was in Seoul, extending the marriage between Korean shamanism and artistic spirit.

Kim Hye Kyoung, who is leading the performance during Samcheong Night, is the niece and direct inheritor of Kim Keum-Hwa who was known as Korea’s leading “manshin (all-gods)” shaman, and a heritage educator of baeyeonsingut from Korea’s West Coast region and daedonggut. She also starred in the film Manshin released in 2014, and performed alongside Kim Keum-Hwa at the gut performance commemorating the first anniversary of Paik’s passing taking place in Ssamji-gil, Seoul in 2007. Daedonggut – Bisugeoeri (Jakdu gut) is performed facing various scales of audiences from a single village to an entire nation, and beckons the well-being, prosperity, unity, safety, flourishing, and peace of a community. Daedonggut conventionally unfolds in fifteen steps, and the Bisugeoeri (Jakdu gut) in this performance constitutes its sixth step. Bisugeoeri is a ritual that prays to deities Shinjang and Janggun for the banishing of misfortune—the shaman dancing on jakdu (straw-cutter) blade chases away evil spirits and minor demons and wards off accidents, loss of property, malicious gossip, and administrative misfortunes.

Unfolding in Gallery Hyundai’s courtyard graced with Nam June Paik’s creative vision, this gut performance ventures beyond a simple reenactment of Korean tradition to bring new light to the creative healing energy of Korean shamanism within today’s context of contemporary art. Paik’s experimental spirit bridging art with life and the secular with the spiritual remains resonant in our current world. Through this performance, Gallery Hyundai shares Korea’s intangible cultural tradition with the stage of global contemporary art, extending the transcendental dialog that encompasses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locality and universality.
“매체란 중세 신학의 개념으로서 신과 소통하는 수단, 곧 매개를 뜻하는 말이다. 굿의 어원은 몽골어의 얼(정신 자체)이니, 매체와 굿은 거의 같은 말이다.”
—백남준, 『늑대의 걸음으로: 서울에서 부다페스트 A Pas de Loup: De Séoul à Budapest』에 실린 글의 일부, 1990년
갤러리현대는 오는 9월 4일(목) 저녁 10시, 삼청나잇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국가 무형유산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전승 교육사인 만신(萬神) 김혜경의 〈대동굿 - 비수거리(작두굿)〉을 선보인다. 굿 퍼포먼스는 1990년, 백남준이 동해안별신굿 세습 무당과 함께 요셉 보이스를 추모하며 선보였던 굿 형식의 퍼포먼스 〈늑대의 걸음으로 – 서울에서 부다페스트〉를 펼친 갤러리현대 앞마당에서 진행된다. 전 세계 예술인이 한자리에 모이는 삼청나잇에서 열리는 이번 ‘굿 퍼포먼스는 백남준의 자유분방하고 실험적인 예술 정신을 계승하는 것과 동시에 복잡하게 얽힌 현실과 영적 세계 속 모든 존재의 안녕과 번영을 빌고, 회화 예술의 기원과 긴밀한 관계에 놓인 샤먼, 한국 전통의 ‘굿’ 문화재를 전 세계 예술인들에게 소개하는 자리이다.
갤러리현대와 ‘굿’의 인연은 1990년 7월 20일 오후 4시, 백남준이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1921-1986)를 추모하기 위해 갤러리현대 마당에서 선보인 굿 형식의 퍼포먼스 〈늑대의 걸음으로 – 서울에서 부다페스트 (A Pas de Loup: De Séoul à Budapest)〉에서 비롯된다. 퍼포먼스는 추모와 더불어 한국 전통의 샤머니즘인 ‘굿’과 전위적인 현대미술의 만남을 의미했다. 백남준은 스스로 무당이 되었고, 요셉 보이스를 대신하여 망가진 피아노와 머리가 뚫린 중절모를 가져다 놓아, 두 사람의 예술적 이상은 하나의 흥겨운 굿판 안에서 어우러졌다. 이 퍼포먼스는 현대미술사의 큰 족적을 남긴 중요한 사건으로 당시 프랑스의 CANAL Plus, 한국의 KBS에 방영되면서 유럽 전역과 국내 전지역에서 소개되었다. 당시의 퍼포먼스를 기록한 도록 『늑대의 걸음으로: 서울에서 부다페스트 A Pas de Loup: De Séoul à Budapest』에 백남준은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매체란 중세 신학의 개념으로서 신과 소통하는 수단, 곧 매개를 뜻하는 말이다. 굿의 어원은 몽골어의 얼(정신 자체)이니, 매체와 굿은 거의 같은 말이다.” 백남준은 ‘굿’을 텔레비전과 같은 하나의 매체로 접근하고 스스로를 매개자, 만신의 역할을 자처하여 현세와 사후 세계를 연결하는 초월적 커뮤니케이션을 선보였다.
이후에도 2004년, 갤러리현대에서 개최되었던 귄터 워커(Günther Uecker)의 아시아 순회전 《고통받는 사람들 – 치유의 은사》 전시 오프닝에서 백남준과 교류가 잦았던 만신 故 김금화 선생이 굿판을 벌였다. 독일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인 귄터 워커는 자신의 작업을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진혼곡이라 불렀고, 한국적 치유 방법인 굿을 벌임으로써 동서양의 문화의 만남을 끌어내고자 했다. 귄터 워커는 실제 오프닝의 퍼포먼스에서 직접 갓을 쓰고, 굿판에 참여했다. 또한, 갤러리현대는 2016년 백남준 작고 10주기를 기리는 전시 《When He was in Seoul》을 개최하며, 전시에서 1990년 당시 굿판을 일부 재현해 그 정신과 한국 전통 샤먼의 예술혼을 이어왔다.
이번 삼청나잇에 펼쳐지는 굿을 선보이는 김혜경은 나라 만신으로 알려진 故 김금화 선생의 조카이자 직계 계승자로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전승 교육사로 활동하며 전통을 잇고 있다. 김금화는 세계적으로 한국의 무속을 널리 알린 인물로, 2014년에 개봉한 영화 〈만신〉의 실제 주인공이다. 2007년 쌈지길에서 열린 '故 백남준을 위한 1주년 추모 굿'은 김금화 만신과 김혜경이 함께 하기도 했다. 〈대동굿 – 비수거리(작두굿)〉는 작게는 마을, 크게는 나라 단위로 이뤄지며 공동체의 안녕과 번영, 화합, 안전과 번성, 평안을 기원하는 굿이다. 대동굿은 통상 15가지 절차를 따르며, 이번에 선보이는 비수거리(작두굿)은 그중 하나로 육굿에 해당한다. 비수거리는 신장과 장군님께 액운을 물리쳐 달라고 기원하는 의식으로, 허주나 잡신을 쫓아내고, 사고나 재물 손실, 구설이나 관재수를 막아달라는 바람을 담아 작두를 타며 진행된다.
백남준의 예술혼이 깃든 갤러리현대 마당에서 펼쳐지는 이 ‘굿’ 퍼포먼스는 단순한 전통 재현을 넘어, 한국 샤머니즘이 지닌 예술적·치유적 에너지를 오늘의 동시대 미술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자리다. 백남준이 굿을 매체로 확장하며 예술과 삶, 현실과 영적 세계를 잇고자 했던 실험적 정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갤러리현대는 이번 퍼포먼스를 통해 한국의 무형 유산을 세계 현대미술과 공유하며,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보편성을 아우르는 초월적 대화를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