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vant-garde art pioneer Seung-taek Lee’s solo exhibition will be held at the GALLERY HYUNDAI New Space from October 7th to November 9th. This is one of his major exhibitions following his solo exhibitions at the Sungkok Art Museum and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This exhibition will give viewers an opportunity to see the artist’s art world which has been acclaimed by world famous curators including Hans Ulrich Obrist, Tobias Berger, and Adriano Pedrosa.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s representative sculptures and installation works will be presented as well as video recordings of his performance art that will be shown for the first time. Commonly, performance art vanishes without physical form and remains only in the form of recordings. This show can be said to be a huge preservation project, recording the sixty-year history of Seung-taek Lee’s performance art.
His works in this exhibition share the common background origins of negation, resistance, challenge, and creation. At university, the artist was fascinated by the philosophy of Nietzsche. This philosophy became the foundation of ‘negation’ which is a core of his art world. The artist realized that new things could be created by the negation and refusal of preexisting things.
Among the works presented are Wind, Environment, and Godret Stone. After seeing Lee’s works Wind and Environment, the director of Aomori Museum of Art, Takayama Hibari (鷹山ひばり), said that ‘if John Cage created music without sound, Seung-taek Lee creates visual art without form.’ His works related to this idea can be explained with the concept of non-materiality. The concept of non-materiality is the creation of art works with materials which are difficult to visualize such as water, fire, wind, and smoke. This is a challenge and resistance against the concept of traditional sculpture and makes it possible to expand the range and to create new things. His work Godret Stone, collected and exhibited by Tate, is a work to overturn our previous ideas about materials. The artist shaved stones and hung them with string to make them look soft.
In this way, he changed the nature of stones.
Seung-taek Lee is one of the first Korean avant-garde artists. He worked on the periphery for fifty years.
Since his name became known after receiving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International Art Award in 2009, he has received acclaim for his distinctive art world. Hans Ulrich Obrist acknowledged him as a great artist who has his own art world, in an interview with the artist printed in Flash Art. Also, Tobias Berger, while working as chief curator at the Nam June Paik Art Center, said that Lee is the artist who can overturn modern art history. Seung-taek Lee will participate in the Frieze Masters in London with his solo booth starting October 15th. He is the first Korean artist to have been chosen for this. Even in his eighty’s, the artist continues to work actively as at other times and attempts experiments of various styles while working everyday. He still has much to show us.
갤러리현대, 신관에서는 10월 7일부터 11월 9일까지 핚국 최초 아방가르드 미술가 이승택(고원, b.1932)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백남준아트센터, 성곡미술관 개인전에 이어 열리는 작가의 주요 전시다.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토비아스 버거, 아드리아노 페드로사 등 세계 유명 큐레이터에게 극찬 받은 작가의 작품 세계를 만날 수 있는 기회다.
이번 전시는 이승택의 대표 조각, 설치 작품과 더불어 행위 미술 기록 영상을 최초로 선보인다. 행위 미술 작품은 각종 기록물만 남기고 작품 자체는 형체 없이 사라져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번 전시는 이승택의 행위 미술이 걸어온 60년 역사를 기록하는 하나의 거대한 보존처리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 이승택의 작품들은 부정, 저항, 도전, 창조라는 공통적 탄생 배경을 갖는다. 이승택은 대학시절 니체의 철학에 심취했고 이는 그의 작품 세계의 핵심인 ‘부정’의 기반이 되었다. 그는 존재하는 것들을 부정하고 거부해야 새로운 것을 창조 할 수 있음을 깨달은 것이다.
전시 대표 작품으로는 Wind, Environment, and Godret Stone가 있다. 아오모리미술관 관장 타카야마 히바리(鷹山ひばり)는 Wind와 Environment 를 보고 ‘존 케이지가 소리 없는 음악을 했다면 이승택은 형체 없는 미술을 한다’고 이야기했다. 이 작품들은 ‘비물질’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비물질’ 개념은 물, 불, 바람, 연기 등 시각화 하기 어려운 재료를 작품화 하는 것이다. 이는 젂통 조각 개념에 대한 도전, 저항으로 그 범주를 확대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 가능하게 핚다. Tate Collection에 소장, 전시 중인 Godret Stone은 우리가 어떤 사물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존 생각을 뒤집는 작품이다. 작가는 단단한 돌의 한가운데를 갈고, 노끈으로 묶어 물렁해보이게 만들었다. 돌의 물성을 바꾼 것이다.
이승택은 한국 최초의 아방가르드 미술가다. 재야 작가로 50년을 살았던 그는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2009) 수상 이후 이름을 알리며 독자적 작업세계로 높게 평가 받고 있다. Hans-Ulrich Obrist는 Flash Art 이승택 인터뷰에서 독자적인 작업 세계를 가진 훌륭한 작가로 평가했으며, Tobias Berger는 백남준아트센터 수석 큐레이터 역임 당시 현대 미술사를 뒤엎을 작가라고 이야기했다. 이승택은 오는 10월 15일부터 런던 프리즈 마스터에 개인 부스로 참가한다. 한국 작가로는 최초로 선정된 일이다.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작가는 여든이 훌쩍 넘은 지금도 매일 작업을 하며 다채로운 형식 실험을 시도한다. 그는 아직 보여줄 것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