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안내는 하단의 'Read More'를 클릭하세요.
Gallery Hyundai is pleased to present Body of Work, a solo exhibition of Shin Sung Hy (1948–2009), at its New York Project Space. Throughout his career, Shin enlivened various material qualities of the essential ingredients of painting—canvas, support, and paint—in pursuit of ontological questions regarding illusion and representation, two- and three-dimensionality, and the artist’s own body. Furthermore, as an émigré who relocated to Paris in the 1980s, he signals the historical Korean diaspora alongside the Korean Avant-garde and emerging talents as one of the three branches of Korean art that have defined the gallery’s historic trajectory, which this global outpost promises to amplify.
Shin Sung Hy’s practice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distinct periods: the “monochrome hyper-realistic painting” series, jute paintings (1974–1982), “collaged paperwork” series, collage (1983–1992), “sewn-canvas” series, couturage (1993–1997), and “knotted-canvas” series, nouage (1997–2009). This exhibition focuses on his couturage and nouage from the 1990s and 2000s where Shin conjured sculptural qualities by cutting colored canvas into pieces and knotting or sewing them back onto its support, creating porous structures that interweave the two- and three-dimensional, positive and negative space. In 2014, Blum & Poe organized From All Sides: Tansaekhwa on Abstraction followed by an exhibition entering Dansaekhwa and American Minimalist works into dialogue, and a duo exhibition Chung Sang-hwa & Shin Sung-hy in 2018, catalyzing the entry of Shin’s iconic nouage series into art historical discourse. Through this exhibition, Gallery Hyundai seeks to further conversations on his avant-garde endeavors across a half-century from 1970 until his passing—an emblem of the global history of painting itself—and the continuing influence of his timeless works.
갤러리현대는 뉴욕 프로젝트 스페이스에서 9월 4일부터 10월 18일까지 신성희(1948–2009) 작가의 개인전, 《Body of Work》를 개최한다. 신성희는 2009년 작고하기 직전까지 일생 내내 회화의 기초적 재료인 캔버스와 지지대에 천착해 왔으며 그 생동하는 물성을 환영과 재현, 이차원과 삼차원의 관계, 작가 자신의 신체의 역할 등 회화의 위상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과 연결지어 왔다. 또, 1980년대에 파리로 이주한 이민 작가로서의 신성희는 갤러리현대가 한국 근현대 미술의 역사와 함께 걸으며 주목해온 세 가지 주요 영역인 한국 아방가르드, 한국 디아스포라, 신진 작가 중 역사적인 한국 디아스포라를 대표하며 글로벌한 도시 뉴욕에서 이어갈 활약에 신호탄을 울린다.
신성희의 회화 세계는 크게 네 시기 ‘마대 회화(극사실 물성 회화)’ 시리즈(1974–1982), ‘콜라주(구조 공간)’ 시리즈(1983–1992), ‘꾸띠아주(박음 회화)’ 시리즈(1993–1997), ‘누아주(엮음 회화)’ 시리즈(1997–2009)로 분류된다. 이번 전시는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를 가로지르는 ‘꾸띠아주’와 ‘누아주’ 작업에 집중한다. 캔버스를 채색하고 자른 뒤 지지대 위에 엮거나 매듭지음으로써 2차원과 3차원, 양과 음의 공간이 혼합된 다공성의 구조가 돋보이는 신성희의 대표적인 두 시리즈이다. 블럼앤포 갤러리는 2014년 《From All Sides: Tansaekhwa on Abstraction》 단색화 기획전에 이어, 단색화 작품들과 미국 미니멀리스트 작품들 간의 대화형 전시를 기획하고, 2018년에는 《정상화, 신성희》 2인전을 기획하여 신성희의 대표 연작인 누아주 시리즈의 미술사적 담론에 불을 지핀 바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1970년대부터 생을 마감하기까지 반세기동안 지속된 글로벌 회화사를 관통하는 신성희의 전위성과 시대를 넘나드는 그의 작업의 위상에 관한 담론을 이어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