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th B2
Yun-Hee Toh
Solo Presentation
October 15 – 19
The Regent’s Park
"I believe true beauty is that which breaks through the barrenness. Beauty that is merely pleasing feels hollow to me. The beauty I speak of does not lie in surface charm or passing trends. Every phenomenon, whether human or natural, holds within it a trace of time. To me, beauty is the act of bringing forth that concealed temporality and revealing it as reality. This is why I have long spoken of my work as ‘discovering the beauty concealed behind phenomena.’” — Yun-Hee Toh, 2025
Gallery Hyundai is pleased to participate in Frieze London 2025 with a solo presentation of Yun-Hee Toh. As one of Korea’s most iconic mid-career female artists, Toh has constructed a singularly poetic visual language over the last four decades. She describes her practice as a process of “discovering the beauty concealed behind phenomena, beneath the surface of the world.” Toh captures, in her meticulous pictorial language, things that escape our gaze or that exist in the shadows of visible phenomena—fragments and secret corners of unfamiliar lives, or facets of life that remain obscured. At Booth B2, Gallery Hyundai will present thirteen recent works that reveal her poetic abstractions.
Toh’s new series embraces an array of conflicting elements that clash and harmonize, directly and sensually: thin and lustrous surfaces with thick and murky layers, amorphous masses with nimble lines, brightness with darkness, intense colors with subtle energies, and vast movements with almost imperceptible shifts. These juxtapositions form a poetic and singular pictorial language in which tension and balance coexist. As seen in her recent works, the colors and textures enveloping a transparent ground move beyond simple harmony, expanding into new dimensions of expression through dynamic dialogue between opposing elements.
Based in Seoul and Berlin, Toh captures delicate and fleeting moments of daily life through perceptive observation and sensual expression. To quickly capture the bright lights, swirling colors, and floating shapes flickering before her eyes from moment to moment before they vanish, she turns to every tool within reach—her hand, her brush, the edge of a broken brush, the bottom of a glass, a hammer—engaging physically with the canvas. She treats the canvas as a space of direct physical encounter,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act of painting into dynamic gestures: feeling, rubbing, dabbing, layering, and slashing paint. Through this intense gesture, she reveals “the beauty concealed behind phenomena, hidden beneath the surface of the world,” and it is in this sense that the large scale of her works becomes integral to her practice. She describes small canvases as acts of “making,” whereas large-scale works allow her to live within the canvas, achieving complete immersion. Thus, her paintings exist not merely as completed objects but as spaces permeated by her being and breath. In her words: “Abstraction is not fantasy. It is not an illusion, a reverie, or an imagination, but something that begins with perception. It’s about being aware of reality—and about making that even richer in a metaphorical sense.”
“척박함을 뚫고 나오는 게 진정 아름다운 것 같아요. 마냥 아름답기만 한 건 허무해요. 제가 말하는 아름다움이란 ‘예쁨’ 또는 ‘유행’에 속한 게 아닙니다. 사람과 자연을 비롯한 모든 현상에는 시(時)가 숨어 있어요. 그걸 꺼내 현실인 것처럼 드러내는 것이 아름다움을 말하는 일이라 생각해요. 제가 “현상 배후에 숨겨진 아름다움을 발견한다”는 말을 줄곧 해온 이유죠.”—도윤희, 2025
갤러리현대는 ‘프리즈 런던 2025’에서 도윤희 작가의 솔로 부스를 선보인다. 도윤희는 한국을 대표하는 중견 여성 회화 작가로, 40여 년에 걸쳐 시적이면서도 독창적인 시각 언어를 구축해 왔다. 그의 작업은 “현상의 배후에 숨겨져 있는, 세계의 표면 뒤에 숨어 있는 아름다움을 찾아내는 과정”으로, 섬세한 회화적 언어를 통해 우리의 시선에서 벗어나 있거나 가시적 현상의 그늘에 존재하는 것들, 즉 삶의 낯설고 감추어진 단편과 은밀한 구석을 포착한다. 갤러리현대는 부스 B2에서 근작들 총 13점을 선보이며, 도윤희의 시적인 추상 화면을 선보인다.
도윤희의 회화는 충돌과 조화가 교차하는 상반된 요소들을 감각적이고 직접적이며 본능적인 방식으로 완성된다. 그는 매끈하고 투명한 면과 두껍고 혼탁한 면, 비정형적 덩어리와 유려한 선, 밝음과 어둠, 강렬한 색채와 은은한 기운, 거대하거나 미세한 역동성을 화면 위에서 병치하며 긴장과 균형이 공존하는, 시적이고 독창적인 회화적 언어를 구축한다. 이번에 소개되는 근작들에서도 볼 수 있듯, 투명한 바탕 위를 감싸는 다채로운 색감과 질감은 단순한 조화를 넘어, 대립적 요소 간의 역동적인 대화를 통해 새로운 차원의 표현을 확장한다.
현재 서울과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도윤희는 섬세한 관찰과 감각적인 표현으로 일상의 미묘한 순간들을 포착한다. 스쳐 지나가는 강렬한 빛, 소용돌이치는 색채, 공중에 부유하는 형상을 붙잡기 위해, 작가는 손, 붓, 부러진 붓의 모서리, 유리잔의 바닥, 망치 등 손에 닿는 모든 도구를 활용한다. 그는 캔버스와 육체적으로 교감하듯 문지르고, 찍고, 쌓아 올리고, 휘몰아치는 등 감각적이고 역동적인 제스처 취하며 “현상의 배후에 숨겨져 있는, 세계의 표면 뒤에 숨어 있는 아름다움”을 화면에 담아낸다. 도윤희의 작품 대다수가 대작인 이유 또한 이러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작은 화면이 하나의 결과물을 '만드는' 행위에 가깝다면, 큰 작업은 작가 자신이 화면 속에 거주하는 듯한 몰입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그의 화면은 단순한 대상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닌 작가의 존재와 호흡이 스며든 장으로 확장되며 탄생한다. 직관적인 신체 행위를 통해 내면의 언어를 끌어내는 추상에 대해 작가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추상은 환상이 아니다. 그것은 환영도, 몽상도, 상상도 아닌, 인식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현실이 인지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은유적으로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