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life is full of echoes. Almost everything is repeated to me—through captions, through body language, or through interpreters.”— Christine Sun Kim
Christine Sun Kim is an American artist based in Berlin whose work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sound, voice, and communication. Through drawing, performance, video, installation, and large-scale public works, she explores how sound operates socially, culturally, and politically, often informed by her experience as a Deaf person navigating a society structured around spoken language. Kim utilizes the body, American Sign Language (ASL), musical notation, written text, and infographics to visualize how meaning is transmitted, translated, and mediated across different modes of communication.
At the core of Kim’s practice is a critical inquiry into power and access. She exposes the hierarchies embedded within language and listening, asking who is allowed to speak and be heard,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Kim challenges the notion of deafness as a limitation and instead presents it as a way to critically examine how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communicated. Her work is often marked by wit, conceptual precision, and sharp observation, encouraging audiences to reconsider the structures through which everyday communication takes place.
Kim’s interest in the physical and metaphorical aspects of sound first emerged in her early performance and sound-based work. Over time, she has developed a distinctive visual language that transforms sonic phenomena into graphic and conceptual forms. Using accessible formats such as drawings, pie charts, scripts, and murals, she reflects on the delays, distortions, and repetitions that often occur in a world dominated by auditory norms.
Christine Sun Kim was born in 1980 in Orange County, California. Kim has exhibited and performed internationally, including at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York (2025); Gwangju Biennale, Gwangju (2023); Secession, Vienna (2023); Queens Museum, New York (2022); the Drawing Center, New York (2022); the Museum für Moderne Kunst, Frankfurt (2021); Manchester International Festival, Manchester (2021); MIT List Visual Arts Center, Cambridge (2020); Whitney Biennial, New York (2019); Buffalo AKG Art Museum, Buffalo (2019); Art Institute of Chicago, Chicago (2018);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San Francisco (2017); De Appel Arts Center, Amsterdam (2017); Berlin Biennale, Berlin (2016); Shanghai Biennale, Shanghai (2016); MoMA PS1, New York (2015)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2013), among numerous others. Kim’s awards and fellowships include an MIT Media Lab Fellowship, a United States Artists fellowship, a Ford and Mellon Foundations’ Disabilities Future Fellowship, and the Prix International d’Art Contemporain of the Fondation Prince Pierre de Monaco. Her works are held in numerous prominent collections, including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LACMA, Los Angeles; Tate Britain, London;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Washington D.C.; Museum of Contemporary Art, Los Angeles; and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York, among others.
Portrait photo by Chad Unger
“내 삶은 메아리로 가득하다. 거의 모든 것이 자막이나 몸짓, 통역을 통해 반복되어 나에게 전달된다.”—김 크리스틴 선
김 크리스틴 선은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미국 출신의 작가로, 소리, 목소리, 그리고 소통에 대한 기존 인식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드로잉, 퍼포먼스, 비디오, 설치, 그리고 대형 공공 작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매체를 아우르며, 특히 작가는 청각장애인으로서 삶과 구어 중심의 사회 규범을 중심으로 소리가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탐구해 왔다. 작가는 청인 중심의 구조 속에서 살아온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신체, 미국 수어(ASL), 악보, 문자, 인포그래픽 등을 활용해 의미가 어떻게 다양한 소통 방식 속에서 전달되고 매개되는지를 시각화한다.
김 크리스틴 선의 작업 중심에는 ‘접근성과 권력’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이 자리한다. 작가는 언어와 청취의 구조에 내재된 위계를 드러내며, 누가 말할 수 있고, 누가 들을 수 있으며, 이러한 권한이 어떤 조건에서 주어지는지 묻는다. 작가는 청각장애를 결핍이나 부재로 바라보지 않고, 오히려 지식과 경험의 전달 방식을 새롭게 사유하게 하는 창조적 틀로 받아들인다. 작품 속에는 작가의 유머와 예리함, 개념적 긴장감을 동시에 지니며, 일상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다시금 바라보도록 이끈다.
소리의 물리적 특성과 은유적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초기 퍼포먼스 및 사운드 기반 작업을 통해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청각적 현상을 시각적이고 개념적인 형식으로 전환하는 작가만의 독특한 시각 언어를 발전시켜 왔다. 드로잉, 원 그래프, 대본 형식의 텍스트, 벽화 등 친숙한 형식을 사용하여, 청인 중심 사회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지연, 왜곡, 반복 등의 현상을 기록하고 비틀며 시각화한다.
김 크리스틴 선은 1980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에서 태어났다. 휘트니 미술관, 뉴욕(2025); 광주비엔날레, 광주(2023); 제체시온, 빈(2023); 퀸즈 미술관, 뉴욕(2022); 드로잉 센터, 뉴욕(2022); 프랑크푸르트 현대미술관, 프랑크푸르트(2021); 맨체스터 인터내셔널 페스티벌, 맨체스터(2021); MIT 리스트 비주얼 아트 센터, 케임브리지(2020); 휘트니 비엔날레, 뉴욕(2019); 버펄로 AKG 아트 뮤지엄, 버펄로(2019);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시카고(2018);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샌프란시스코(2017), 드 아펠 아트센터, 암스테르담(2017); 베를린 비엔날레, 베를린(2016); 상하이 비엔날레, 상하이(2016); MoMA PS1, 뉴욕(2015); 뉴욕현대미술관(MoMA), 뉴욕(2013) 등 국제적인 전시에 참여했다. 김 크리스틴 선은 MIT 미디어랩 디렉터 펠로우십,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아티스트 펠로우십, 포드재단과 멜론재단이 공동 주관한 장애 예술가 프로그램(Disability Futures Fellowship), 그리고 모나코 프린스 피에르 재단의 현대미술상(Prix International d’Art Contemporain) 등에서 수상 및 펠로우십을 수료했다. 현재 그녀의 작품은 뉴욕현대미술관, 뉴욕; 로스앤젤레스 카운티미술관(LACMA), 로스앤젤레스; 테이트 브리튼, 런던; 스미스소니언 미술관, 워싱턴 D.C.;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 로스앤젤레스; 휘트니 미술관, 뉴욕을 비롯하여 세계 주요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