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ung Neung Kyung

Sung Neung Kyung

Download

Connect

During a time when even the term “conceptual art” was unfamiliar, the artist questioned the fundamental identity of art. He stated: “among the arts, only visual art contains material. Poetry, novels, film, and music are all void of material. Materiality is what determines the value of ownership. To eliminate materiality from visual art is my own conceptual art practice.” 
-    From Sung Neung Kyung’s artist note

Sung Neung Kyung (b. 1944) is a major figure in Korean conceptual art for his activation of trivial moments in everyday life into significant moments of art, finding a niche previously overlooked by fine art where he demonstrates through complex phenomena that the artist’s own body functions as an expressive medium. In a period of time where idealogical thoughts of Laozi and Chuang-tzu and three-dimensional art influenced by Western Minimalism formed the main strands of the art world, Sung introduced conceptual works vacated of materiality in favor of the artist’s own actions. As a member of the avant-garde artist collective Space & Time (ST) group from the beginning of the 1970s when Korea was under military dictatorship, he continued a practice for over half a century based on the amalgamation between newspaper, photographs, and performance which sets him apart from his contemporaries. 

Kim Hong-hee (former director of Seoul Museum of Art and current director of Nam June Paik Cultural Foundation) has commented: “In the end, Sung Neung Kyung in the 1970s was first marginalized by monochrome painters, and next by fellow conceptual artists to whom he yielded the hegemony of the Avant-garde. In the 80’s he is marginalized both by Modernism and Minjung art, and in the 90’s by the new Postmodern generation. With a naïve yet single-minded creative instinct of enjoying a lonesome play upon multilayered boundaries, he was other to both the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opting to remain as the fringe of the fringe.” Even the artist himself recalls that he was not “slighted” but “regarded as barely there” within the art world. 

Within a current that resisted two-dimensionality, Sung Neung Kyung sought to minimize materiality in his work. Notably, he utilized the medium of newspapers that wielded authority as mass media under military dictatorship. Unabashedly reflecting the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 in Korea, he constructed a unique practice and life as an artist of creating pure visual language where the process of cutting newspapers itself becomes works of art. 

Sung Neung Kyung introduced the first work among the ST group members to become completed along the duration of the exhibition, Newspaper: From June 1, 1975, at the third ST Exhibition. Within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1974, the work was groundbreaking in using newspapers as main material and being completed through the artist’s actions which symbolize individual’s reconstitution of public messaging from absolute authorities of the time. Newspapers will continue to be Sung’s signature medium through different variations. 

The iconic Venue series in the 1980s are recontextualizations of photographs in newspapers that the artist photographs close-up, draws with ink on the film, and prints out, which transforms into site-specific installations. In re-editing symbols such as circles, dotted lines, and arrows that newspapers editors conventionally us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photographs, the series marks a watershed moment comparable to Richard Prince’s re-photographing of the Marlboro newspaper advertisement which led to a lawsuit of the century and eventually introduced plagiarism as a genre of art, as it also produces a creative method from plagiarism. 

In the 1990s, Sung’s works testify to the transition of larger art currents from historical events to personal narratives, using not photographs from newspapers but directly taken from his own personal life. Sung recalls that bringing up four children in place of his wife who w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put him in such exhaustion that he felt at the verge of derangement. Among photographs taken during those years, the artist had collected even misfocused ones or ones where the shutter was pushed accidentally – even those transformed into art when exhibited next to colorful transparent candy wrappers that the children had thrown away. The personal narratives of a battling father and artist, placed in museum exhibitions, approached audiences as the kind of art that can be sympathized transcending time. Botched art is more beautiful and Private Room, for example, occupy an incomparable part in the history of Korean photography as a conceptual photo instead of a “photographed” photo, and renders itself not an object of contemplation but a space of experience where audiences ask their own questions. The artist’s “botched” narratives offer an intuitive perspective of an aesthetic of irony where “botched photographs are beautiful,” “botched films are more graceful,” and “botched life is _____.” 

Since the 2000s, Sung Neung Kyung has returned to discovering and building artistic language from the everyday. Reading newspapers remains an important part of his daily life, having grown up watching his father read the newspaper – studiously reading the “Everyday English” section, he has been leaving meticulous notes from his own study sessions. Now approaching his 70s, the now-aged artist’s habit of reading the daily paper, in addition to his efforts to learn the international language of English, is transferred into collage-drawing works made from newspaper. 

As such, Sung Neung Kyung’s oeuvre offers an intuitive insight into not only a lay artist’s existence through the past century but also the trajectory of Korean history. Sung’s major works are in high demand by major institutions including the collection of the Rachofsky Collection, Dalla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Seoul Museum of Art, Korea, Seoul; Gyeonggi Museum of Art, Gyeonggi; Daejeon Museum of Art, Daejeon; Busan Museum of Art, Busan; and Daegu Art Museum, Daegu. 

개념미술이라는 단어조차 생소했던 시절, 작가는 미술 본연의 정체성을 질문했다. 그는 “예술 중 미술만 유독 물질이 있다. 시, 소설, 영화, 음악 모두 물질이 없다. 물질성 때문에 재산 가치로 평가된다. 미술에서 물질성을 제거하는 작업이 (나의)개념 미술이었다”
-    성능경 작가 노트 발췌

성능경 (b.1944) 은 한국의 미술사에서 일상의 범속한 행위를 예술의 가장 중요한 장면으로 끌어들임으로써, 기존의 예술이 할 수 없는 예술의 틈을 찾아 작가의 몸이 여전히 미술에서 유효한 표현 매체로서 작동함을 복합적인 양상으로 보여준 대표적인 개념미술가다. 작가는 노자, 장자의 관념적인 사유와 서구의 미니멀 양식의 영향으로 입체 미술 과 대세를 이루던 시기에 1970년대 초반부터 ST 회원으로 참여하였다. 당시 성능경은 유신 체재 하의 시대상황을 미술가의 행위가 중심이 되는 물질성이 최대한 제거된 개념적인 작업을 발표하였고, 당대의 미술가들과 차별되는 신문, 사진, 행위의 융합이 키워드가 되는 작업을 반세기 넘도록 현재까지 지속해 왔다. 

김홍희(전서울시립미술관 관장, 현 백남준문화재단 이사장)는 “결국 70년대의 성능경은 일차적으로 모노크롬 작가들에 의해 주변화되고, 다음으로는 동료 개념작가들에게 아방가르드의 헤게모니를 양보한다. 80년대에는 모더니즘, 민중미술 양진영으로부터 소외되며, 90년대는 포스트모던 신세대에 시대적 주도권을 넘겨준다. 다층적 경계 위에서 외로운 유희를 즐기는 나이브하면서도 외골수적인 예술적 본능으로 그는 주류와 비주류 모두의 타자로서, 주변의 주변작가로 남기를 선택한 것이다.” 고 평가한 적 있다. 작가 스스로도 미술계에서 ‘업신 여김’ 이 아나라 ‘없음 여김’을 받았다고 회고한다.

성능경은 탈-평면의 시대 조류 속에 물질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작업 방향으로 잡았다. 당시 유신 체제 하에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던 매스미디어였던 ‘신문’ 매체를 활용하여 한국의 역사적 상황을 고스란히 반영하는 시각적 언어-신문을 읽고 오리는 행위의 과정 자체가 작품이 되는-를 창조하여 독자적인 작업 세계를 구축했다. ST 멤버 중 가장 처음으로 전시 중에 작품이 완성이 되어 가는 - 매일매일 신문을 읽고 오리는 행위 자체가 작업이 되는 - <신문 : 1974. 6. 1 이후>를 제3회 ST전에 발표한다. 1974년의 시대적 상황에서 ‘신문’이 핵심 재료가 되며, 당시 절대 권력을 행사하고 있던 공적 메시지에 대한 개인의 재편집을 상징하는 작가의 행위로 완성되는 혁신적인 작품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어서 신문은 그의 시그니처 매체가 되어 다양한 변주를 이어나간다. 

그의 1980년대 대표작 〈현장〉 시리즈는 신문에 게재된 사진을 작가가 접사 촬영한 후 필름에 먹으로 드로잉한 후 인화한 사진을 장소특정적 설치로 재맥락화되는 형식의 작업이다. 신문의 편집자가 사진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려 넣은 동그라미, 점선, 화살표와 같은 기호를 재편집한 작품이다. 이는 리차드 프린스가 신문에 실린 말보로 담배 광고 사진을 재촬영해서 세기의 소송까지 갔던 “도용”을 하나의 미술 장르화 시킨 사건에 견줄 만한 작업 방삭으로, 보도 사진 ‘도용’을 미술의 언어로 끌고 온 혁신적인 작품이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작가는 당대의 예술이 집단 역사적 사건이 아닌 개인적 서사로 옮겨가고 있음을 작업으로 입증해 보여준다. 그는 이제 신문 사진이 아닌, 작가가 직접 촬영한 사진 설치 작업을 이어간다. 초등학교 교사였던 아내 대신 상당한 시간을 네 남매의 육아에 쏟아 부었던 작가는 너무 힘들어서 정신 착란의 상태에 이를 지경이었다고 한다. 네 남매를 키우며 찍었던 사진 중에서 핀이 안 맞거나 실수로 셔터가 눌러진 사진들이 아까워 모아 두었고, 이를 역시 아이들이 먹고 버린 투명하고 알록달록한 사탕 포장지와 함께 전시했다. 아빠로서 작가로서 치열했던 작가의 개인사는 미술관에 소개되어 세대를 초월해서 공감할 수 있는 미술로 다가오기에 충분하다. 찍는 사진이 아니라, 개념 사진으로 현대미술사 및 한국사진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령한 〈망친 사진이 아름답다〉, 〈안방〉은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관람자 스스로 질문을 던지는 체험의 공간이 된다. 작가의 ‘망친’ 서사는 “망친 사진이 아름답다”, “망친 영화가 더 아름답다”, “망친 인생이 OO하다”는 역설의 미학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신선한 관점을 직관적으로 제시한다.

2000년 이후, 작가는 다시 일상에서 미술의 언어를 발전시킨다. 어려서부터 아버지의 신문 읽는 모습을 보고 자란 작가에게 신문 읽기는 중요한 일상인데, 작가는 신문에 고정 코너로 존재하는 ‘그날그날 영어’를 열독하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공부하는 흔적을 정성스레 남겨왔다. 70대에 접어든 노년의 작가의 일간 신문 정독의 습관은 국제적인 언어가 된 영어를 제대로 구사하고자 하는 성능경만의 방식으로 신문콜라주-드로잉 작품이 되었다. 

성능경의 작업 세계를 통해 우리는 급변했던 지난 세기의 한 평범한 미술가의 실존과 더불어 한국의 시대상을 직관적으로 읽을 수 있다. 성능경의 주요 작업은 라초프스키 컬렉션 (미국, 달라스)을 비롯하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대구미술관 등 주요 미술관에서 최근 구매하여 소장하고 있다. 

Share

Selected Works

Exhibitions

Stories

For further information on Sung Neung 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