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ung Zuyoung

Chung Zuyoung

Download

Connect

"The act of viewing a scenery is perceiving and portraying the experience of a vivid object in a holistic and integrated way, and one's encounter with the landscape is still novel and such act opens up a new perceptual and spiritual horizon day by day." – Chung Zuyoung


Chung Zuyoung has been exploring our attitudes in viewing, interpreting the landscape, as well as seeking its contemporarily significance. Contrary to the product of the projection of the artist’s subjectivity, Chung's landscape works can be defined as the imagery of the artist's subjectivity being projected onto the landscape. Rather than a mere depiction of an object, her landscape paintings resemble a ‘visage’ or ‘almost occurring a movement’, as the pictorial surface itself is drifting and wandering inside or on its surface. The artist calls this the "portrait of a landscape that draws the roots of our perception towards the concrete and primitive dimension of senses and experience beyond conception and abstraction."

While studying in Germany, the artist's quest commenced with painting the scenery of a park, and the process went through the visual reinterpretation of the Joseon Dynasty true view landscape paintings by the artists such as Jeong Seon or Gim Hongdo. This has led to the artist's attitude of viewing the landscape which we encounter daily, continually exploring the questions surrounding the matters of the original and the reinterpretation, traditional and the modern, parts and the whole, concept and existence, landscape and its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abstract and the real.

Since 1996, Chung has expanded the oeuvre by reinterpreting the works by Jeong Seon and Gim Hongdo for seven years. She began her artistic career with an exhibition at the Gumho Museum of Art in 1999, which presented the artist's pictorial reinterpretations of Gim Hongdo's Gahakjeong,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n, influenced by Gyeonggyo Myeongseungcheop by Jeong Seon, the artist developed her interest in mountains regarding their stationary appearance and location. Numerous specific sites, including Songpajin, Yanghwajin, and Dongjangjin, were portrayed by the artist through the artist's visit to the real scenery, which has precedently been depicted in the old masterpieces. In the 2013 solo exhibition partes extra partes at Gallery Hyundai, the artist showcased paintings such as Bukak Mountain viewed from Gwanghwamun Square to Samcheong-dong, reflecting the gradually changing mountain views in different directions as if the paintings are following the observer's gaze onsite. In addition, Sage Visage Paysage held in 2017, featured works depicting the artist's own hand and Mountain Bukhan series relating the peak of the mountain.

Influenced by French philosopher Hubert Damisch’s A Theory of /Cloud/, as shown in Meteorologica, solo exhibition currently on view, Chung has been expanding her artistic practice beyond the mountains as her subject matter. By shifting from the foundation of the landscape, such as mountains and rocks, to the realm of non-solid forms: water, fog, clouds, and sky, seeking new questions and artistic methodologies surrounding the landscape and the painting itself. Chung shows the new possibilities of a painting by capturing an ever-changing, un-representable state, by visually expressing chaos and ephemerality itself.

Chung received her BFA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ompleted her Masters at the Kunstakademie Dusseldorf under professor Jan Dibbets. Chung is currently professor of Fine Arts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Chung has held solo exhibitions including Nook Gallery(2021), Yeemock Gallery (2020), Gallery Hyundai (2017), Mongin Art Center (2010), Gallery 175 (2006), Art Sonje Center (2002), Kumho Museum of Art (1999), among others. Her works are in the public collections of major art institutions including Seoul Museum of Art, Seoul; Shinsegae Gallery, Seoul; Art Sonje Center, Seoul; Mongin Art Center, Seoul;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and Daegu Art Museum, Daegu. 
 

“풍경을 본다는 것은 생생한 대상의 경험을 총체적이며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그려내는 것이며, 풍경과의 조우는 여전히 새롭고 나날이 새로운(생생화화生生化化) 인식과 정신의 지평을 여는 일이다.” – 정주영


정주영은 풍경을 바라보는 우리의 태도, 풍경에 대한 해석과 그것의 동시대적 의미를 탐구해왔다. 그의 풍경은 주관에 투사하여 나온 것이라기 보다, 주관을 풍경에 투사하여 나타나는 이미지에 가깝다. 대상의 묘사이기보다는 ‘거의 직설적인 몸짓’이나 ‘얼굴’처럼 보이는 그의 화면은 풍경이지만 풍경에 고착되어 있다기 보다 그 표면이나 그 내면을 표류하고 있는 것 같다. 이는 작가가 말하는 ‘관념과 추상을 넘어선 감각과 체험의 구체적이며 원초적인 차원으로 우리 인식의 뿌리를 잡아 이끄는 풍경의 초상’이다.

독일 유학 초기, 공원의 풍경을 그리는 것으로부터 시작된 작가의 질문은 김홍도나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는 자신과 대면하고 있는 현실의 풍경을 바라보는 태도로 이어져 왔으며, 원본과 차용, 전통과 현대, 부분과 전체, 관념과 실재, 진경과 실경, 추상적인 것과 사실적인 것의 문제를 끊임없이 탐구하였다.

1996년부터 7년간 김홍도, 정선의 그림 부분을 확대하여 그림을 그리던 작가는 1999년 금호미술관에서 김홍도의 <가학정>을 재해석하는 작품을 선보인 전시를 시작으로, 2003년 조선후기 진경산수화를 대표하는 겸재 정선의 <경교명승첩>에 모티브를 얻어 옛 작품의 실경을 추적하며 그 위치나 모습에서 변하지 않는 산에 관심을 갖게 되며 송파진, 양화진, 동작진 등 특정한 곳을 방문해 회화로 풀어낸다. 2013년 갤러리현대에서의 개인전 《부분 밖의 부분》에서는 광화문 광장에서부터 삼청동까지의 여정을 거치며 올려다본 북악산의 한 측면을 작품화 하며 산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시선을 따라가면서 조금씩 달라져가는 산의 조건들을 반영하였다. 2017년 《풍경의 얼굴》에서는 북한산의 봉우리의 형상을 인간 얼굴의 형상과 연결 짓는 동시에 작가 자신의 손 부분을 묘사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이렇듯 산을 중심으로 작업을 지속해오던 작가는 프랑스 미술사학자 위베르 다미쉬(Hubert Damisch)의 구름 이론과 그의 저서의 영향을 받은 이후, 2023년 갤러리현대 개인전 《그림의 기후》를 통해 회화의 공간을 산 너머의 공간으로 확장해 나간다. 정주영은 풍경의 토대가 되었던 산과 바위에서 점차 물과 안개, 구름과 하늘의 영역으로 회화의 공간을 확장해 나감으로써 풍경과 회화에 대한 새로운 질문과 회화적 방법론을 모색한다. 그는 고정된 틀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재현 불가능한 어떤 상태를 그리는 것, 혼돈과 덧없음 자체를 표현함으로써 회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정주영은 1969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92년 서울대학교 서양화과와 1997년 독일 쿤스트 아카데미 뒤셀도르프, 네덜란드 드 아뜰리에를 졸업하였으며, 쿤스트 아카데미 뒤셀도르프에서 얀 디베츠(Jan Dibbets)교수로부터 마이스터슐러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한국종합예술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누크갤러리(2021), 이목화랑(2020), 갤러리현대(2017), 몽인아트센터(2010), 갤러리 175 (2006), 아트선재센터(2002), 금호미술관(1999)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그의 작품은 서울시립미술관, 신세계 갤러리, 아트선재센터, 몽인아트센터, 경기도 미술관, 대구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Share

Selected Works

Exhibitions

Stories

For further information on Chung Zuyoung